산란지 이동하는 두꺼비들의


알을 낳기 위한 두꺼비의 대이동이 수원 광교저수지 부근에서 시작된 이래 ‘로드킬’이 자주 발생한다.

로드킬은 자연계의 연결 고리 중 하나를 끊을 수 있는 기회이자 궁극적으로 인간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지자체의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에 주목한다.

수원환경운동본부에 따르면 센터는 지난 9일, 7일, 8일 오후 6시부터 3시간 동안 광교저수지 대피소(수원특별시 장안구 하왕교동 86-8)에서 열렸다.

경기대학교에서 약 300m 떨어진 광교산도로 2차선. 총 146인치
도로에서 떨어진 두꺼비.

광교저수지 부근에서 동면하던 두꺼비가 길 건너 연꽃 연못으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양서류는 2월과 3월의 산란기에 알을 낳기 위해 태어난 곳으로 돌아가는 후진동물이다.

센터에서는 구조 작업 중 차량에 짓밟힌 두꺼비 사체 총 10구를 발견했다.

지난해 3월 10일부터 닷새 동안 이런 캠페인을 벌인 센터는 당시 도로에서 죽임을 당한 두꺼비 50여 마리의 흔적을 발견했다.

또 올해와 지난해 자동차 바퀴 밑으로 들어간 두꺼비의 10%가 암컷이어서 이런 추세가 계속되면 광교저수지 부근에서 양서류 종자가 고갈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광교산로에는 그런 현수막이 없는 반면 전남 광양시에는 산란기 두꺼비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른바 ‘두꺼비 간판’이 설치돼 있었다.

수많은 정당의 현수막이 우리의 시야를 어지럽히고 있는데 꼭 필요한 현수막이 없다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입니다.

홍은화 센터장은 “생태계에서 중간 역할을 하는 종이 사라지면 다른 종들도 문제를 겪을 수 있다.

이 경우 생물다양성 문제가 발생하고 인간과 생물이 누릴 수 있는 자연권이 사라져 생태계 붕괴 등의 사태가 발생한다”며 “두꺼비 산란기임을 알리는 표지판이나 통로를 만들어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지난해 같은 경우에는 완행을 당부하는 현수막을 두 개나 걸었다”고 말했다.

한편, 2018년부터 광교저수지 두꺼비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해 온 센터에서는 느리게 움직이는 차량에 대해 묻는 캠페인도 계획하고 있다.

양서류인 두꺼비는 잠자리, 나방, 메뚜기, 지렁이 및 삼킬 수 있는 다른 동물과 같은 곤충을 먹습니다.

자연생태계의 먹이사슬은 결국 인간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이 먹이사슬의 파괴는 인간에게 재앙으로 반등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적극적인 대책이 구체적으로 결정되길 바란다.

#수원광교저수지 #두꺼비산란 #로드킬 #자연연결 #수원환경운동센터 #광교저수지쉼터 #연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