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산업의 하향세
코로나19 확산이 시작됐다 2020년부터 시작된 스마트폰 산업의 하락세는 올해도 이어질 전망이다.
2019년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은 14억7900만대였지만 2020년에는 13억3100만대로 전년 대비 약 10% 감소했다.
이후 스마트폰 판매량은 정체됐지만 지난해인 2022년에는 12억4000만대로 불과 2년 만에 또 10% 하락했다.
올해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은 12억6200만대로 2019년 대비 약 15% 감소했다.
스마트폰 시장은 금리인상 지속, 높은 인플레이션, 경기 둔화 우려, 중국 경기 부진 등 불완전한 외부 요인으로 인해 여전히 암울한 상황입니다.
게다가 최근 평균판매단가(ASP) 상승과 긴 스마트폰 교체 주기로 스마트폰 시장은 당분간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5G 셀룰러 상용화로 5G폰 채택이 가속화되고 있어 2024년 다소 고무적이다.
경제 불확실성이 제거되고 금리 인하가 본격화되는 2024년이 스마트폰주를 들여다볼 시점이라는 뜻이다.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업체 중 하나가 한국에 있습니다.
여기는 삼성입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스마트폰 시장에서 1위를 차지했다.
삼성전자는 22%의 시장점유율로 1위 자리를 지켰고, 아이폰 제조사인 애플은 19%의 시장점유율로 2위를 차지했다.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했지만 애플과의 격차가 너무 작아 올해를 장담할 수 없다.
실제로 지난해 4분기 애플은 25%, 삼성은 20%로 순위가 바뀌었다.
그 뒤를 이어 샤오미, 오포, 비보가 뒤를 이었다.
삼성 스마트폰
어려운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애플의 추격으로 삼성전자의 1위 자리가 위협받고 있지만, 삼성이 개척한 폴더블폰 출하량은 크게 늘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전 세계 폴더블폰 출하량은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했다.
판매대수 기준으로는 608만대로 전년도 373만대에 비해 대폭 증가했다.
실제로 삼성전자의 갤럭시Z 시리즈는 폴더블폰 시장의 선두주자다.
폴더블폰 시장에서 지난해 삼성전자의 시장점유율은 82%로 독과점 수준이다.
하지만 폴더블폰 시장은 삼성이 직접 개척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폴더블폰 자체가 알려지지 않았던 판매 초기에는 얼리 어답터들이 사용하는 새로운 폼팩터 제품에 불과했다.
폴더블폰 사용자들은 의외로 많은 불편함과 불편함을 호소했지만, 삼성은 곧바로 개선해 지금은 확실한 프리미엄이 붙은 인기 스마트폰이 된 것 같다.
이에 따라 전체 스마트폰에서 폴더블폰이 차지하는 비중은 2%대로 높아졌다.
이는 1년 전 1.1%에 비해 두 배 증가한 수치다.
폴더블폰은 옆으로 접는 것과 위아래로 접는 두 종류가 있다.
지난해 3분기 접힌 우편물은 전년 동기 대비 88% 성장하며 그 인기를 입증했다.
접는 폴더블폰의 성장세는 중국에서 잘 팔리기 때문이다.
접을 수 있는 뼈 경첩의 핵심
시장조사업체 트랜스팟(Transpod)은 폴더블 스마트폰의 전세계 출하량이 1280만대에 달했다고 밝혔다.
전년 대비 44% 증가 1850만개로 추산됐다.
스마트폰 출하량 자체가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폴더블폰의 높은 성장률은 의외다.
삼성전자는 업계 개척을 위해 폴더블폰 시장을 장악하고 있지만, 야솜이, 오포, 비보 등 다른 폴더블폰 업체들은 중국에서 판매가 제한적이다.
스마트폰 강자인 애플은 아직 폴더블폰을 내놓지 않고 있다.
해당 종목은 폴더블폰의 높은 성장률로 인해 주기적으로 등락한다.
특히 힌지는 폴더블폰이 주목해야 할 핵심이다.
힌지(hinge)는 폴더블폰에서 접을 수 있는 부분을 말하며 라이트칩이라고도 한다.
실제로 힌지(경칩) 시장 규모는 폴더블폰 시장 규모와 직결된다.
힌지는 폴더블폰의 주름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부품으로, 삼성전자가 폴더블폰을 설계할 때 가장 공을 들인 부분이다.
폴더블폰에 사용되는 힌지는 U자형과 눈물방울형 두 가지다.
삼성전자 1세대 폴더블폰은 U자형 힌지를 사용했지만 올해 출시 예정인 갤럭시Z5는 물방울 모양 힌지를 적용했다.
U자형 힌지는 접었을 때 완전히 평평하게 접히지는 않지만 물방울 모양보다는 저렴하기 때문에 채택했다.
삼성전자가 U자형 힌지를 버리고 눈물방울형 힌지를 채택한 것도 하이엔드 전략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물론 가격은 오를 가능성이 높습니다.
폴더블폰의 핵심인 ‘힌지’ 관련 대표적인 업체는 KH바텍과 에스커넥트다.
출시 초기부터 대부분의 U자형 힌지는 KH바텍과 에스큐텍트가 공급했지만, 지난해부터는 파인테크닉스도 신규 공급사로 선정됐다.
가격 경쟁력을 이유로 공급처를 다변화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향후 물방울 경첩을 사용하겠다고 밝힌 만큼 경첩 공급업체는 더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물방울 경첩 공급업체에는 Amphenol 및 AVC가 포함됩니다.
관련주 중에는 상장기업인 KH바텍이 있다.
애플도 폴더블폰 개발 중
지난해 10월 애플이 폴더블 디스플레이 특허를 출원하면서 기정사실이 됐다.
그동안 애플은 폴더블폰 시장 진입을 미뤘다.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애플이 폴더블폰을 출시해 뛰어들면 관련 산업은 더욱 커질 가능성이 높다.
경첩 제조사들도 애플 공급을 위한 경쟁을 심화시킬 전망이다.
경쟁 심화와 공급 증가는 결국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애플의 폴더블폰 형태가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