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태종과 세조, 가족에게 칼을 겨누던 이야기
조선 태종은 왕이 되려는 왕자의 반란을 일으켜 형들을 죽이고 아버지 이성계에게서 멀어졌다.
창시자인 정도전에게도 칼을 휘둘렀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외가를 빼내기 위해 처남 4명을 서슴지 않고 죽였다.
수양대군이라 불렸던 세조도 비슷한 사연이 있다.
단종을 수장으로 한 관공 게임의 시작
세종은 첫째로 문종을, 둘째로 세조를 낳았다.
세 번째는 서예와 그림에 능한 안평대군이었다.
세종 사후 문종이 왕위에 올랐으나 몸이 허약한 문종은 3년도 채 못 되어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갑작스런 죽음으로 문종의 아들 단종이 별다른 대책 없이 12세에 왕위에 올랐다.
단종은 어렸고, 왕가에는 수렴정부를 대신할 성인이 없었다.
이런 상황을 눈치챈 문종은 신하들에게 단종을 돕도록 명했지만, 사실 신하들은 허수아비왕을 앞세워 권력장난을 벌이기 시작했다.
단종의 계승과 죽음
단종의 삼촌인 수양대군과 안평대군은 자신들의 힘을 키우기 시작했고, 내전을 일으키며 수양대군의 승리로 끝났다.
이 사건에서 수양대군은 영의정에 앉아 이조와 병조판서를 겸임하였다.
즉, 모든 군사력, 인사력, 행정력을 지배했다.
반란군은 주저 없이 행동하여 모든 권력을 장악하고 모두 추방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단종은 마침내 숙부인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이 되었다.
당시 단종이 15세였다고 한다.
세조는 단종을 살리고 싶었지만 단종 복위 운동이 계속되자 많은 신하들이 호소했다.
단종은 노산군으로 강등되어 다시 서인으로 강등된 뒤 세조에게 살해당했다.
세조와 조선 태종의 유사점
세조는 여러 면에서 태종과 비슷하다.
처음에 왕이 된 장남은 아니었지만 뛰어난 솜씨와 생활력으로 결국 왕이 된 것과 비슷하다.
이 과정에서 태종은 이방석, 이방번, 이방간 등 형들을 죽였고, 세조는 조카 단종과 동생 안평대군, 금성대군을 죽였다.
둘 다 왕권이 집중되는 조선을 꿈꿨기 때문에 사제 중심을 주장하는 신하들과 끊임없이 대립했고, 그 과정에서 태종은 정도전과 사육신이라는 신하 세조까지 죽였다.
또한 둘 다 왕이 되기 전에 중국에 있었다는 사실도 있다.
태종은 실제로 위화도로 돌아온 뒤 인질로 중국에 갔고, 세조의 경우 단종에게 은사로 중국에 갔다.
더욱이 두 사람은 처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왕이 되었는데, 왕이 되기 전부터 유명했기 때문에 태종과 세조보다 이방원과 수양대군의 이름이 더 잘 알려져 있다.
세조와 조선 태종의 차이
그들에 대한 역사와 대중의 평가는 다릅니다.
왕족 중심의 왕국의 기틀을 다지는 데 태종이 필연이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태종은 강력한 리더십의 전형이기도 하다.
그러나 세조에 관해서는 거의 모든 학자와 역사서에서 그를 불법 정치의 대표자나 왕권을 위해 끊임없이 사람을 죽이는 부도덕한 인물로 평가한다.
세조는 정말 잔인한 기회주의자였을까?
세조가 잔인한 기회주의자였는지 종묘와 사직을 걱정하면서 왕실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 실용주의자였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완전히 다른 두 가지 견해가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수양대군은 단종에게서 왕위를 물려받을 생각이 전혀 없었다는 의견이 있기 때문이다.
계유정난 이후 단종의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송현수의 딸을 단종의 왕비가 되어 세자를 낳기를 원했다.
수양대군의 마음을 알아차린 단종은 왕비와 함께 수양대군의 처제를 찾아 연회를 베풀거나 함께 사냥대회에 참가하기도 했다고 한다.
단종을 물리치고 왕이 되려는 사람에게 단종은 너무 많은 호의를 베풀었다고 여겨진다.
왕위도 종묘와 사직을 위해 단종이 자진해서 바쳤다는 주장이다.
단종의 복고를 주장한 사육신도 단종의 복고를 진심으로 바라기보다 왕권 강화만을 고집하는 세조를 비판했다.
왜 그는 일반적으로 잔인한 기회주의자로 알려져 있습니까?
관점에 따라 세조에 대한 평가가 강하지만 일반적으로 세조는 잔인한 기회주의자에 가깝다.
그 주된 이유 중 하나는 1929년에 출간된 이광수의 역사소설 단종연가이다.
이 소설에서 단종은 조선과 수양대군을 일본에 비유했다고 한다.
특히 이 소설은 일제강점기 상황과 잘 맞아떨어져 한국전쟁 이후에는 영화로도 만들어질 정도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고 한다.
당시 언론의 파급력은 엄청났고, 왕위를 빼앗긴 나약한 단종과 왕위를 찬탈한 세조의 이야기로 사람들의 인식이 고정됐다.